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

스타트업을 위한 적정 아키텍처 완벽 가이드: 창업부터 성장까지 단계별 로드맵 적정 아키텍처란 무엇인가?대기업 vs 스타트업의 아키텍처 접근법 차이많은 개발자들이 대기업의 복잡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를 보고 이를 스타트업에 그대로 적용하려 합니다. 하지만 이는 개발팀 3명 이하의 초기 스타트업에서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대기업 시스템의 특징:안정적인 요구사항충분한 개발 인력과 예산높은 가용성과 확장성 요구스타트업의 현실:빈번한 요구사항 변경과 피벗팅제한적인 인력과 예산빠른 개발과 배포 우선적정 아키텍처의 3가지 핵심 원칙1. 현실적 기준 설정현재 인력을 기준으로 아키텍처 설계핑크빛 전망이 아닌 현재 상황 고려러닝커브가 높은 기술은 지양2. 비용 효율성인프라 관리 비용 초기에는 서버 비용 최소화 우선확장성은 필요할 때 고려3. 변화 대응력쉽고 빠른 요구사항 반영.. 2025. 6. 11.
개발자를 위한 블로그 플랫폼 비교: 티스토리, 브런치, 미디엄, 벨로그, 셀프 호스팅까지 개발자에게 적합한 블로그 플랫폼 비교. 티스토리, 벨로그, 워드프레스, 노션 CMS를 기록, 브랜딩, 확장성(API 연동 등)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수익화보다는 ‘나만의 공간 만들기’를 우선합니다. 개발자, 왜 블로그를 시작하나요? 개발자가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는 사실 단순합니다.기록, 브랜딩, 그리고 아주 가볍게 수익화. 처음엔 스택오버플로우에서 얻은 소중한 답변을 기록하려고 시작하고, 어느 순간 내 이름이 검색되기를 바라게 됩니다. 그리고 언젠가, “이거 에드센스 붙이면 커피값 나올까?” 하는 가벼운 호기심도 생기죠. 이 글에서는👉 티스토리, 브런치, 미디엄, 벨로그, 셀프 호스팅(워드프레스)이렇게 다섯 가지 플랫폼을 기록, 브랜딩, SEO, 커스터마이징, API 연동 가능성, 수익화 기준으로.. 2025. 6. 10.
AI 시대,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필수 기술 5가지 요즘 이런 말을 많이 들어요.“AI가 코드를 다 짜주는 시대가 왔다.”ChatGPT, 클로드, Copilot, 커서 등 다양한 AI 도구들이 개발자들의 시간을 확실히 줄여주고 있어요.저도 매일 사용하고 있고요. 그러면 이런 질문이 생깁니다.이제 코딩은 몰라도 되는 거야?결론부터 말하면,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오히려, 앞으로 개발자는 어디까지 알고 있어야 하는지가 더 중요해질 거예요.단순히 ‘코드 작성’이 아닌,문제를 정의하고, AI와 협업하고, 서비스 전체를 이해할 줄 아는 개발자가 살아남는 시대입니다.그래서 오늘은 ‘AI 시대에 진짜 필요한 개발 지식’을 정말 쉽게, 핵심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문제 정의: AI가 대신할 수 없는 인간의 역할AI는 코드를 잘 짜주지만,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지’.. 2025. 6. 9.
728x90